[인공관절수술] 인공관절수술 후 고관절 2주면 일상복귀 가능하다
[인공관절수술] 인공관절수술 후 고관절 2주면 일상복귀 가능하다
직장인 박재형(53)씨는 허리가 지끈거리는 통증 때문에 병원을 찾았다가 고관절 이상이라는 진단을 받았다.
뼈가 썩는 " 대퇴골두무혈성괴사"라는 생소한 병명에 겁부터 덜컥 났다. 수술을 하면 치료가 가능하다고 하지만
몇 주간 휴가를 낼 수도 없는 형편이라 막막하기만 하다.
고관절 질환 환자들이 늘고 있다.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청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,
고관절 수술 환자는 2005년 1만 5008건에서 2009년 2만 3615건으로 1.5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.
그러나 환자들이 수술을 선택하기란 쉽지 않다. 송상호 웰튼병원 원장은 " 수술 자체의 부담도 있지만 생업에
대한 문제로 치료를 쉽게 결정하지 못하는 환자들이 많다"며 고관절 질환 중 절반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는
"대퇴골두 무혈성 괴사"는 주로 사회활동이 활발한 30-50대 남성들에게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수술을 받기
위해서는 직장에 휴가를 내거나 쉬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"고 말했다.
■ 신체 활동에 중요한 역할 하는 "고관절"
고관절은 매우 중요한 신체 부위까지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는 부위 중하나다. 고관절은 어깨 관절 다음으로 운동
범위가 큰 관절이다. 걷거나 움직일 때 체중을 지탱해 하중을 분산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, 달리거나 격한 운동 시
체중의 10배가 되는 하중을 견디기도 한다.
고관절 질환이 발생해도 통증이 엉덩이, 사타구니 부위 등 한 지점에서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허리 질환으로
오인하는 경우가 많다. 송 원정은 "고관절은 두꺼운 인대가 감싸고 있기 때문에 무릎 등 다른 관절보다 쉽게 나빠지지
않는 다는 장점이 있고, 무릎 관절에 비해 발병 비율이 약 25% 정도로 낮은 편이지만 일단 발병하면 잘 낮지 않고 수술적
치료를 선택해야 하는경우가 많다. " 고 설명했다.
고관절 질환이 심한 경우에는 고관절 인공관절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. 인공관절수술이란 망가진 관절부위를 제거하고
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수술적 치료법이다. 고관절 질환 중 다수를 차지하는 "대퇴골두무혈성괴사"는 초기 단계에는 약물치료
또는 뼈에 미세한 구멍을 뚫어 혈액순환을 돕는 "다발성 천공술"로 치료할 수 있지만 괴사 부위가 넓고 이미 뼈가 주저앉은
상태라면 인공관절수술이 필요하다.
■고관절수술 환자들 " 휴유증 없는 빠른 일상 복귀" 중요
환자들은 수술을 선택하면서도 "재활과 휴유증"에 큰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. 웰튼병원에서 외래환자 200면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"수술시 가장 중요한것"을 묻는 질문에 "재활치료센터 및 조기재활 여부"라는 응답이 51%로 절반을 차지했다.
또한 응답자의 40%는 수술을 선택할 때 가장 걱정되는 부분으로 "수술 휴유증"을 꼽았다.
이에 최근에는 조기 재활이 가능한 수술법이 개발돼 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.
기존에 15-20cm 였던 절개 부위를 8-10cm로 최소화해 근육과 힘줄을 보존하는 수술법이 그것이다.
◇절개 부위 줄여 빠른 회복 가능, 획기적으로 낮아진 탈구율
최근에 시행되는 고관절수술은 절개 부위가 작기 때문에 출
혈량이 적고, 회복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. 무엇보다도 고관절 재수술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됐던 탈구율을 획기적으로
낮춰 환자들은 재수술에 대한 부담을 줄였다.
고관절 탈구 가능성을 최소화 하는 것은 고관절 수술법과 연관성이 깊다. 과거에도 탈구율을 줄이기 위해 큰 대퇴골두 기구를 사
용하거나 연부조직 봉합 방법을 개선하는 등 여러 노력이 있었지만 큰 효과를 얻지 못했다. 그러나 근육과 힘줄을 보존하는 수술
법을 적용함으로써 고관절 탈구의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였다. 이에 따라 과거에는 수술 후 6주 이상 침상에서만 생활하도록 했
지만 최근에는 수술 1주일 후면 혼자 걸을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직장인이라면 수술 후 약 2주 간의 재활치료를 거치면 일상적인
사회 활동이 가능하다.
빠른 재활이 가능해지다 보니 욕창과 패혈증, 하지혈전합병증 등 합병증 발생 확률이 낮아졌다. 또 빠른 재활은 관절 주위 근력 약
화를 막고, 수술부위의 연부조직 유착을 막아 관절의 유연성과 굴곡 각도를 증가시켜 운동 능력을 향상시킨다.
송 원장은 “고관절 질환은 생소하지만 간과해서는 안 되는 중요한 부분인 만큼 허리가 아프거나 양반 다리 자세가 어려운 경우에
는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”며 “인공관절수술을 선택할 때는 환자가 수술의 필요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재
활과 물리치료, 수술법 등 다양한 요소들을 따져볼 수 있도록 충분한 상담을 한 후 결정해야 한다”고 말했다.